마음과 얼굴
2025. 5. 7. 19:40ㆍ좋은글
마음과 얼굴
짐승은 밥을 건드릴 때 물고, 사람은 돈을 건드릴 때 문니다. 지나친 욕심은 암세포와 같아 정상세포인 양심을 죽입니다.
아무리 좋은 약도 부작용이 있듯이 아무리 좋은 짝도 단점은 있는 법입니다.
내 삶의 주변에 겹겹이 불신의 철조망을 치면 적뿐만 아니라 친구도 들어오려 하지 않습니다.
가난이 죄가 아니듯, 단지 돈이 많다고 죄는 아니다. 배고플수록 밥이 그립듯, 외로울수록 정이 그립습니다.
나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짝은 한 명이면 족하고 나를 진심으로 걱정하는 벗도 한 명이면 족합니다.
사건을 해결하는 열쇠는 사건이 일어난 현장에 있듯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 역시 마음 자체에 있습니다.
몸을 가두면 몸이 괴롭듯, 마음을 가두면 마음도 괴롭습니다.
마음을 가두는 감옥 중에 가장 으뜸이 되는 건 바로 집착입니다.
짐승보다 못한 인간이 있듯, 인간보다 나은 짐승도 있습니다.
상유심생(相由心生) 나의 얼굴은 마음에서 생긴니다.
마의상법(麻衣相法)'이라는 책에는 상유심생(相由心生) 이라는 사자성어가 나온니다.
옛날 중국 산동에 한 조각가가 있었는데, 외모가 아주 잘 생긴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그는 요괴나 귀신과 같은 것들을 조각하길 좋아했고, 그의 작품은 모양이 아주 생동감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앞 다퉈 구매했다는데...
세월은 흘러갔고 장사도 잘 돼 적지 않은 돈도 벌어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니, 잘 생겼던 얼굴은 간데없고 몰골이 괴상하게 변해 있었습니다.
그는 예전의 자신의 모습을 찾고 싶어 두루 유명한 의사들을 찾아다녔지만, 아무 효과가 없었습니다.
어느 날 우연히 한 사찰에 들르게 되고, 그곳 주지 스님의 충고를 들었습니다.
"내가 당신의 소원을 들어줄 수는 있지만, 대신 조건이 있소. 반드시 각기 다른 모습의 관음상을 여러 개 조각해서 내게 주어야 하오. “
조각가는 자신의 소원을 이루기 위해, 주저 없이 스님의 조건을 받아들였습니다.
이리하여 그는 끊임없이 관음보살의 모습과 표정을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자신의 작품 속에 표현하고자 노력했습니다.
반년이 지난 후 그는 각기 다른 모습의 관음상을 만들어냈고, 다시 스님을 찾아가게 된니다.
그러자 스님이 빙그레 웃으며 이렇게 말한니다.
"거울을 한 번 보시오. 당신의 얼굴은 자비롭고 선량한 것이 마치 관음보살처럼 보입니다."
그제야 그는 자신의 얼굴 모습이 단정하고 장중하게 변한 것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그토록 고치고 싶었던 얼굴이 저절로 좋아진 것입니다.
사람은 각자의 얼굴에 세월의 흔적을 새기며 삽니다.
아브라함 링컨이 대통령이 된 후 내각을 구성할 때 비서진에게 어떤 사람을 추천받았는데, 그 사람 얼굴을 보고는 거절을 했다고 합니다.
거절한 이유를 묻자 링컨은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뱃속에서 나올 때는 부모가 만들어준 얼굴이지만, 그 다음부터는 자신이 얼굴을 만드는 것입니다.
나이 사십이 넘으면 모든 사람은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
과학적으로 보더라도 심리 변화는 신경전달 물질의 농도 차이를 발생시키고, 근육은 표정에 변화를 만듭니다.
항상 신경질적이고 초조하고 우울했던 사람은 얼굴에 그 마음이 그대로 나타납니다.
늘 화를 내던 사람의 얼굴은 보기만 해도 무섭습니다.
지금 주위에 거울이 있다면, 자신의 얼굴을 한 번 보세요.
얼굴 단장을 하듯 보지 마시고, 그냥 전체적인 분위기를 봐 보세요. 여러분의 얼굴은 어떤가요?
모든 건, 마음먹기에 달려 있습니다. 상유심생(相由心生), "외모는 마음에서 생겨난다"는 뜻입니다.
사람은 각자의 얼굴에 세월의 흔적을 새기며 산니다.
우리가 지나온 세월, 생각과 가치관, 심리 상태의 모든 변화 하나하나가 얼굴에 흔적을 남긴니다.
여기에는 어느 정도 과학적 근거가 있습니다. 심리 변화는 신경전달 물질의 농도 차이를 발생시키고, 근육을 만들어 표정에 변화를 만든니다.
오랫동안 일정한 정서를 유지한 사람은 표정에 크게 변화가 없지만, 항상 초조하고 우울한 사람에게는 '불안한 얼굴'이 생긴니다.
나이가 들수록,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하지요.
그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도 종종 거울을 봐야 합니다. 내 얼굴 속에 평온함이 있는지, 불안함이 있는지.
내 낯빛에 깃든 초조함이나 우울함 유쾌함과 생동감으로 바꾸는 일이 자기 얼굴을 바꾸는 길입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가 있음을 감사 (2) | 2025.05.08 |
---|---|
어버이날 (0) | 2025.05.08 |
木石雲水(목석운수) (1) | 2025.05.07 |
이 글은 MBC라디오 여성 시대에서 대상 받은 글 (0) | 2025.05.06 |
維摩屠劊(유마도회) (1)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