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지혜

2024. 6. 9. 22:23자유게시방

성종 임금 때,

어떤 사람이 일찍이 딸 하나를 낳아

길러서 시집보낸 후 늦게 아들을 하나 보게 되었다.

 이 사람이 나이가 많아 죽을 때가 되었는데,

 아들은 아직까지 강보에 싸여 있는 어린아이였다.

 

이 사람이 죽으면서 유언을 하여 재산을

시집간 딸에게 모두 물려주고,

 어린 아들에게는 자기 자신의 얼굴 모습이

그려진 족자 1개만 주었다.

 딸은 친정 재산을 모두 물려받았으니 살림은

넉넉해졌지만,

살 길이 막막한 친정의 어린 동생이 가엾어서,

동생을 데리고 와서 자기 자식처럼 돌보아 길렀다.

 

노인의 아들은 점차 나이가 들어가자 옛날 부친이

돌아가실 때 모든 재산을 누나에게 다 주고

 자기의 몫은 족자 하나뿐이었다는 사실을 의아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결국 족자를 들고 관청에 나아가 소송을

제기하기에 이른다.

 

 

 "누나가 저를 자식처럼 잘 길러주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친이 무슨 뜻으로 재산을

누나에게 모두 주고,

 저에게는 이 족자 하나만 물려주었는지

그 참뜻이 궁금합니다.

 

결코 누나를 원망해서가 아니라 이 족자의

뜻을 알고 싶을 따름입니다

." 이렇게 해 청원이 접수되었는데, 관장이

도저히 밝힐 수가 없어서

 성종 임금에게 보고하고 그 족자를 바쳤다.

성종 임금이 족자를 펴보니 족자에는 노인이

한 사람 그려져 있을 뿐이었다.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어서 고민하다가

족자를 벽에 걸어놓고 멀리 앉아 쳐다보니,

 

그림 속의 노인이 손가락으로 아래 부분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었다.

 이것을 본 임금은 문득 생각이 떠올라,

사람을 시켜서 그 족자 끝의 축을 쪼개 보도록 했다.

 그랬더니 그 속에 종이쪽지가 들어 있었다.

 

 "내가 재산을 딸에게 모두 다 준 것은,

딸에게 어린 동생을 잘 돌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아이가 자라고 나면 내 재산을 균등하게

나누도록 하라." 이러한 내용이었다.

 그래서 성종 임금은 문서를 작성하여

재산을 남매에게 균등하게 분할해 주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당시 재산을 어린 아들에게 물려주었다면,

 

누나는 재산 때문에 어린 동생을 돌보지 않고

해쳤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따라서 지금처럼 동생을

잘 거두어 기르지 않았을 것이다.

 노인의 지혜가 놀랍다.

" 이처럼 노인의 경우와 같이 지혜는

 상대방에 대한 깊은 배려와 사랑에서

나오는 것은 아닐까요?

'자유게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와유머  (2) 2024.06.10
감정이 메마르면  (0) 2024.06.10
싱가포르 vs 대한민국 0-7 !! 손흥민, 이강인 골 !!  (0) 2024.06.09
"강을 건너면 뗏목을 버려라  (0) 2024.06.08
집사 오면 놀리 케 조 야지  (0)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