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리 빗자루와 제설 작업의 추억

2024. 1. 23. 17:53자유게시방

싸리 빗자루와 제설작업의 추억

70년대 초 중반 그 시절 군에선

9월쯤에 유격훈련이 끝나면 10월

중순 후부터는 월동준비에 들어갔다

각 포반별로는 혹한기 훈련대비

위장망 작업, 수송부에선 배터리

이송용 당가? (들것) 만들기 등 

각 소속부서 별로 준비가 끝나면

포대 공동 준비에 들어간다.

볏짚으로 새끼를 꼬아 멍석모양으로

내무반 유리창 덮게를

만드는 걸 보고는 기가 막혔다

특히 지겹게도 내리는 눈 치우는

싸리 빗자루를 만들기에

매일 포대원이 동원된다

포대 인근 6-700 고지에는

싸리나무가 엄청 많았는데 각자가

싸리를 꺾어 칡으로 한 아름 묶어

양쪽 어깨에 걸고 내려와서

빗자루를 만들었다.

나는 고향이 제주도여서

싸리나무도 본 적이 없고 만들어

본 적도 없어 선임들에게

만드는 걸 배웠다

우선 싸리나무 밑동을 X 자로

놓아 아래쪽을 묶고 위로 칡으로

두세 번을 묶으니 빗자루가 완성되었다

영내 도로 제설용 빗자루는

할당량이 없어  부서별로 자기네가

쓸 만큼 만들고 공동 작업용 빗자루는 

3월 말까지 써야 하니 전 포대원이

약 1,000 여자루를 만들어 당시에

결연을 맺었던 여의도의

등학교에 보내고

일부는 월동 염장무 담그러 온

영외 거주 간부들

부인에게 나눠 주었다

이제 눈이 내린다
밤 낮이 없다

영내도로는 사람이 다닐

정도만 한차례 쓸고 각

포상에 우선 포 사격이 되게끔 

눈을 털어내면 이제 영외도로

제설작업이 이다

우리 포대는 대대 끝자리에 있어

대대까지 약 1.5 Km 정도 되는데

우선 1 차로 5 명이 기러기 날아가는

대형으로 하여 맨 앞이 좌 우로 쓸면

좌 우 2 명이 옆으로 나머지 2 명이

길 옆으로 쓰는데 이 2명이 제일 힘든다

눈 쓸기를 약 50 여 m를 하다기

허리를 좀 펴서 뒤 돌아보면 눈은

다시 그만큼 쌓여 있고.....

그럼 온 만큼 눈 치우며 되돌아가면

2차로 다른 조들이 기러기 대형으로

제설작업이 반복된다

그러나 영외도로 제설 작업은

해야만 했다

지치고 힘들어도 해야 했다 언제

어떠한 비상사태가

일어나지 모르기 때문이다

제설작업으로 다 닳은 싸리빗자루는

잘 모아두는데 이게 화목으론 최고다

영외도로이고 보니 지치고 할 때

이 닳은 빗자루를 꺾어 라면을 끓이는데

연기도 안 나고 화력이 쌔어 최고였다

영외도로 제설작업 하면 포신 윤활유

1갤런 통을 잘 씻고 라면을 미리

준비하는 건 물론였다

라면 끓일 물이야 무공해 눈으로

하고... 덜어 먹을 그릇도 없어

젓가락은 빗자루 가지를 꺾으면 되었고

그냥 라면 끓인 통에서 두어

젓가락을 먹으면 춥고 힘들은 몸과

마음이 조금은 녹아내리고...

지금도 그 맛은 잊을 수가 없다

영외 도로에서 불 피우는 건

안 되지만 힘들고 지치니까

간부들도 유야 무야 넘어가 주었다

강원도 지방에 많은 눈이 내린다는데

그 시절 지치고 힘들었던 기억이 새삼

그리운 추억으로 다가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