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식 이란

2024. 10. 24. 19:17자유게시방

졸장부는 모른다

잘 쉬는 것도 일이다. -

「쉬는 법도 배우자!」

(휴식)休息이란

문자를(파자) 破字하면

休(쉴 휴)는 사람 인(人)이
나무 목(木)에 몸을 기대어

쉬는 것을 말하며,
息(쉴 식)은 자(自) 신의 마음

(心)심 을 아래로 내려놓는
즉 걱정과 불안 등 온갖 잡념을

가라앉히고, 그저 편히

쉬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가을날, 한 농촌 마을에서

두 농부가 논에서 열심히

벼를 베고 있었다.

​한 사람은 허리를 펴는 법 없이

계속해서 열심히 벼를 베었다.
다른 한 사람은, 중간 중간 논두렁에

앉아 쉬었다. 거기에다 노래까지

흥얼거리면서 말이다.

저녁이 다 되어 두 사람은 허리를 펴고,

자기가 베어 놓은 볏단을 뒤돌아 보았다.
​그런데, 틈틈이 논두렁에 앉아 쉬던 농부가

베어놓은 볏단이 많았던 것이다.

쉬지 않고 이를 악물고 열심히 일만

한 농부가 따지듯 물었다.
아니, 나는 한 번도 쉬지 않고 일했는데,

이거 도대체 어떻게 된 거지...?

​틈틈이 쉬었던 농부가 빙긋이

웃으며 이렇게 대답했다.
​“응, 난 쉬면서 낫을 갈았거든...” 

한 번쯤 되돌아 볼 일이다.
“나는 오늘도 그처럼 무딘

낫을 들고 온종일 땀 흘리며,
일만 하고 있지는 않았는지...? " 


명지대학교 인문교양학부 김정운

교수가 쓴 책 중에

"노는 만큼 성공한다."라는 책이 있다.

그 책에 이런 내용이 있다.

요즘 아버지를 고소한

사건으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15년 동안 오로지 골프에만

둘러싸여 화려한 골프여왕으로
등극한 박 세리가 자기

아버지에게 이렇게 항의했다.

​“아버지!
나 이제 골프에 지쳤어요.
이젠 이 골프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그런데, 아버진 제게 다른 건

다 가르쳐 주고, 왜 쉬는 법은

르쳐주지 않으셨어요?” 

위로는 부모님을 봉양하고,

밑으로는 자식들 챙기느라

앞만 바라보며
살아온 우리 세대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뒤돌아 봤을 때, 이제까지

숨 가쁘게 앞만 보고 달려온

나날들이었다면,
이젠 좀 쉬면서,
옆도 보고,
뒤도 보고,
친구도, 지인도,

형제 자매도 보고,
낫도 갈면서 오늘 하루라도

여유를 가지고 조금은

쉬엄쉬엄 사시는 것은 어떨는지?

휴식(休息)은 업무 진행의

균형을 맞춰주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창의력을

키우고 자기 계발을 하게 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경쟁력도 높일 수 있다. 



# 오늘의 명언

휴식(休息)은

게으름도, 멈춤도 아니다.
휴식(休息)을 모르는

사람은 브레이크가 없는 자동차

같아서 위험하기 짝이 없다.
- 헨리 포드 -

한가로운 시간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재산이다.
- 소크라테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