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
2024. 7. 12. 18:32
🌳 마지막 시험문제
고사성어에 신언서판(身言書判)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옛날 관리를 뽑을 때에는 평가의 기준으로...
"용모(容貌), 언변(言辯), 글
(筆體),
판단력
(判斷力)"
4가지가 있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감사가 깃든 언행'
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다음의 사례를 통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직원들에게 대우가 좋기로 소문 난 한국에 있는 한 외국계 기업에서 신입사원을 채용공고를 냈습니다.
지원자 중
1, 2차 필기시험과 면접을 거친 후 다섯 명의 최종 예비합격자가 선정되었습니다.
인사 부장이 이들 다섯명에게
3일 이내에 최종 결과를 알려 줄 것이라고 통보했습니다.
다섯 지원자들은 초조한 심정으로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다섯 명 중, 유일한
여성 지원자는 며칠 후,
회사로부터 다음과 같은 내용의
E-Mail을 받았습니다.
''귀하께서 저희 회사에 지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귀하는 이번에 저희 회사에 채용되지 않았습니다.
회사가 채용할 인원이 제한되어 있어서 귀하처럼 재능 있고 뛰어난 인재를 모시지 못하게 된 점을 매우 애석하게 생각합니다."
그녀는 마음이 아팠지만 한편으로는
E-Mail에 담긴 진심어린 위로의 내용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
그래서 아래와 같은 짧은 감사의 응답 메일을 회사로 보냈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족한 저를 최종 5인 예비합격자 명단에 포함시켜 주신 걸로 만족합니다.
''앞으로 하시는 모든 일들이
잘 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귀사의 일취월장과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며 감사의 마음 간직하겠습니다''
그런데 3일째 되던 날 ! 그녀는 뜻밖에도 회사로부터 최종 합격을 했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나중에 알고보니 그녀가 받았던 불합격 통지
E-Mail 내용은
<마지막 시험 문제>
였던 것입니다.
즉, 다섯명의 지원자 모두가 그녀와 똑같은 불합격 통지 메일을 받았지만,
회사에 감사 메일을 보낸 사람은 오직 그녀 한 사람뿐이었습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아니 아무리 불리하고 불행한 처지에 놓였을 때라도....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 상대방으로 부터 인정과 선택을 받게 된다는 사례입니다.
이러한 경향은 경제, 문화 수준이 높아지는 사회일수록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아집니다.
이제 우리 모두가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면서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 한다면,
보다 나은 감사와 보은이 충만한 세상이 펼쳐지지 않을까요?